2011. 1. 27. 선고 2009두1051 판결 〔토지수용재결처분취소〕
[1] 사업인정기관이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상의 사업인정을 하기 위한 요건
[2] 사업시행자가 사업인정을 받은 후 그 사업이 공용수용을 할 만한 공익성을 상실하거나 사업인정에 관련된 자들의 이익이 현저히 비례의 원칙에 어긋나게 된 경우 또는 사업시행자가 해당 공익사업을 수행할 의사나 능력을 상실한 경우, 그 사업인정에 터잡아 수용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1] 사업인정이란 공익사업을 토지 등을 수용 또는 사용할 사업으로 결정하는 것으로서 공익사업의 시행자에게 그 후 일정한 절차를 거칠 것을 조건으로 일정한 내용의 수용권을 설정하여 주는 형성행위이므로, 해당 사업이 외형상 토지 등을 수용 또는 사용할 수 있는 사업에 해당한다고 하더라도 사업인정기관으로서는 그 사업이 공용수용을 할 만한 공익성이 있는지의 여부와 공익성이 있는 경우에도 그 사업의 내용과 방법에 관하여 사업인정에 관련된 자들의 이익을 공익과 사익 사이에서는 물론, 공익 상호간 및 사익 상호간에도 정당하게 비교․교량하여야 하고, 그 비교․교량은 비례의 원칙에 적합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뿐만 아니라 해당 공익사업을 수행하여 공익을 실현할 의사나 능력이 없는 자에게 타인의 재산권을 공권력적․강제적으로 박탈할 수 있는 수용권을 설정하여 줄 수는 없으므로, 사업시행자에게 해당 공익사업을 수행할 의사와 능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도 사업인정의 한 요건이라고 보아야 한다.
=> 개인적으로 22회 법규 시험에 출제될만한 상당히 주목할만한 판례라고 생각한다.
사업인정요건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판결로 특히 진하게 표시된 부분은 사업인정의 새로운 요건으로 보아야 한다. 케이스로 충분히 문제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2] 공용수용은 헌법상의 재산권 보장의 요청상 불가피한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는 헌법 제23조의 근본취지에 비추어 볼 때, 사업시행자가 사업인정을 받은 후 그 사업이 공용수용을 할 만한 공익성을 상실하거나 사업인정에 관련된 자들의 이익이 현저히 비례의 원칙에 어긋나게 된 경우 또는 사업시행자가 해당 공익사업을 수행할 의사나 능력을 상실하였음에도 여전히 그 사업인정에 기하여 수용권을 행사하는 것은 수용권의 공익 목적에 반하는 수용권의 남용에 해당하여 허용되지 않는다.
'감정평가 및 보상법규 (행정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종권 편저 법규 (한권으로 끝내는 판례집)에 대하여 (0) | 2011.04.01 |
---|---|
2010.1.24 시행된 로스쿨 변호사 자격시험 공법 문제 (논문형) (0) | 2011.03.27 |
불법형질변경토지, 거부처분 재처분의무, 기속력 쟁점 판례 (0) | 2011.03.08 |
행정법 사례 예시 (절차하자, 신고, 기속력) (0) | 2011.02.16 |
행정법 공부방법론 (7급 삼봉행정법 김유환 강사, 2003년 작성) (0) | 2011.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