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테르는  역사란 '인류의 범죄와 어리석음의 기록'이라고 말합니다.  역사에 비일비재하게 발생하는 비극적 사건들을 보면 아마 그 말이 진실인 듯 보입니다. 생존을 위한 싸움과 살아남기에 적합한 존재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인류의 역사는 게걸스러운 욕심의 역사였습니다. 지금도 우리는 밥과 짝짓기와 번영을 위해 날마다 싸웁니다. 그러니 인류의 역사를 생물학의 단편으로 이해 할 수도 있겠지요.

 


  그러나 우리는 이 싸움 속에서도 사랑을 만들었고, 노래를 만들었고, 이야기를 만들어 냈습니다. 공자는 함께 잘 지내는 법을 설파했고, 부처는 우리 안의 신을 찾기를 열망했고, 예수는 이웃과 빵을 나누라고 외칩니다. 그리고 니체는 미친듯이 우리의 어리석음 폭로하여 각성하게하고, 프로이트와 융은 가면 밑을 흐르는 무의식의 평안을 도와줍니다. 역사는 수많은 실제의 사건들을 통해 우리가 우리 자신에 관한 철학적 조망을 얻을 수 있도록 가르쳐 왔습니다.

 

그래서 윌 듀란트는 '역사란 사례를 들어 가르치는 철학'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문명의 역사는 100만년으로 추산되는 인류의 긴 자취 중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습니다. 우리는 대부분의 시간을 자연 속의 한 종으로 살아왔습니다. 신화는 문명 이전 인류의 정신세계를 말합니다. 그것은 문명이라는 팬티를 걸치지 않은 인간 나체에 대한 이야기들입니다. 동시에 그것은 우리가 누구인지를 가장 잘 보여주는 상징체계이기도 합니다. 구스타프 융의 이야기를 내식으로 조금 비틀면 아마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을 것입니다.

 


" (신화는) 가장 깊고 비밀스러운 곳에 숨어 있는 작은 문이며 이 문은 우주의 밤을 향해 열려있다. 그 밤은 우리의 자아의식이 생겨나기 오래전부터 정신으로 존재했다.... (신화는) 자아를 던져 버린.... 깊은 곳에서 생겨나며 너무도 유치하고 기괴하고 비도덕적이다. 꽃처럼 피어나는 그 솔직함과 진실함 앞에서 우리는 기만에 찬 우리의 삶에 대하여 얼굴을 붉히게 된다....무의식의 장에서 인간은 더 이상 고립된 개인이 아니다. 그의 정신은 넓어지고, 인류의 정신으로 통합된다."


 

 


어느 날 나는 신화 속 이야기들을 통해 사회적 가면 넘어 존재하는 인간의 근원적 욕망을 이해하고 헤아릴 수 있다면, 경영의 진보가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개인의 자연적 본능과 불완전한 사회적 본능 사이의 깊고도 끈질긴 갈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높여줌으로써 새로운 차원의 경영에 대한 실험이 가능하기를 기대합니다. 이것을 우선 신화 경영이라고 불러 볼까요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