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7. 23. 선고 2014다14672 판결 〔채무부존재확인〕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시행령 부칙(2002. 12. 30.) 제6조의 규정 취지 및 무허가 건축물의 건축시점뿐만 아니라 소유권 또는 실질적 처분권의 취득시점까지 1989. 1. 24. 이전이어야 이주대책대상자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소극)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시행령 부칙(2002. 12. 30.) 제6조의 문언과 도입경위, 이주대책 제외대상자를 규정한 구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시행령(2008. 2. 29. 대통령령 제2072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공익사업법 시행령’이라 한다) 제40조 제3항 각 호의 취지 및 체계 등에 비추어 보면, 위 부칙 규정은 1989. 1. 24. 당시 이미 건축된 무허가 건축물인 경우에는 소유자에 대하여 구 공익사업법 시행령 제40조 제3항 각 호가 정하는 이주대책대상자 제외요건 중 제1호의 적용을 예외적으로 배제하려는 데 취지가 있는 것일 뿐, 건축시점뿐만 아니라 무허가 건축물의 소유권 또는 실질적 처분권의 취득시점까지도 1989. 1. 24. 이전이어야만 이주대책대상자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토지 보상평가 > 토지 보상평가 일반 (공법상제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건이 비교표준지일 경우 표준지의 공시기준일 이후 토지특성이 불일치 하는 경우 (0) | 2015.10.07 |
---|---|
표준지선정시 공시내용과 현황 불일치시 선정배제사유로 주장할 수 있는 것 (0) | 2015.10.06 |
2015년도 산지복구비 산정기준 금액 (0) | 2015.09.16 |
2015년도 대체산림자원조성비 단위면적당 금액 (0) | 2015.09.15 |
[참고] 천안야구장 보상평가 징계위원회 심의 결과 ‘불문’ 의결 (한국감정원의 의견과 정면으로 배치됨) (0) | 2015.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