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박사학위)
공익사업 손실보상만족도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신서 혁신도시개발사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Improving the Satisfaction for Loss Compensation in Public Works
- 무료원문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7
I. 서론 9
1. 연구배경 및 목적 9
2. 연구내용과 방법 13
II. 이론 및 제도 고찰 15
1. 토지보상법 개요 15
2. 손실보상 내용 25
1) 손실보상 대상 25
2) 손실보상 방법 37
3. 손실보상 행정 40
1) 감정평가업체 선정 40
2) 부동산시장 관리제도 42
3) 조세특례 45
4. 선행연구 고찰 51
1) 손실보상내용에 관한 선행연구 51
2) 손실보상행정에 관한 선행연구 57
3) 선행연구의 한계와 연구 차별성 62
III. 연구모형과 분석기법 65
1. 연구모형 65
1) 보상만족도 모형 65
2) 손실보상 중요도 모형 66
2. 분석기법 69
1) 로지스틱 회귀분석 69
2) AHP(Analysis Hierarchy Process) 70
IV. 실증분석 73
1. 공익사업 대상지 73
1) 공익사업 대상지 개요 73
2) 공익사업 대상지 특성 74
2. 손실보상만족도 분석 77
1) 이주실태 분석 77
2) 보상만족도 분석 83
3. 손실보상 중요도 분석 101
1) 전문가그룹 특성 101
2) 중요도 분석 102
4. 분석결과의 종합 105
V. 손실보상만족도 향상방안 110
1. 손실보상내용 개선 110
1) 보상방법 현실화 110
2) 소득수준별 이주대책 차별화 111
2. 손실보장행정 개선 113
1) 대체지지구제 도입 113
2) 보상평가행정 신뢰성 회복 117
VI. 결론 120
참고문헌 123
Abstract 132
부록 134
표목차
표 1. 공익사업 보상절차에 따른 소요기간 17
표 2. 토지보상법 제정 및 개정 주요내용 23
표 3. 이주대책 수립요건과 세부내용 34
표 4. 이주정착금 지급요건 및 내용 35
표 5. 손실보상대상 37
표 6. 손실보상방법 기준 39
표 7. 사업시행자별 감정평가업체 선정방식 40
표 8. 토지거래허가구역 연도별 지정면적 45
표 9. 양도소득세 감면 및 종합한도 47
표 10. 양도소득세 및 취득세 관련 조세특례 50
표 11. 손실보상대상 관련 선행연구 54
표 12. 손실보상방법 관련 선행연구 57
표 13. 손실보상 평가행정 관련 선행연구 60
표 14. 손실보상 지원행정 관련 선행연구 62
표 15. 혁신도시별 보상실태 74
표 16. 피수용자 거주지 현황 75
표 17. 수용토지 현황 76
표 18. 공익사업 대상지 주변 표준지 지가동향 77
표 19. 보상금 수령 전 생활실태 78
표 20. 보상금 수령 후 이주실태 81
표 21. 보상만족도*이주실태 χ²결과 83
표 22. 보상금만족도*보상금 수령시기 교차표 85
표 23. 보상금만족도*보상금 수령금액 교차표 86
표 24. 보상금만족도*재산권보상 교차표 87
표 25. 감정평가업체선정 만족도*보상금 수령시기 교차표 87
표 26. 감정평가업체선정 만족도*보상금 수령금액 교차표 88
표 27. 감정평가업체선정 만족도*재산권보상 교차표 89
표 28. 세제지원만족도*보상금 수령금액 교차표 89
표 29. 세제지원만족도*재산권보상 교차표 90
표 30. 이주대책만족도*보상금 수령금액 교차표 91
표 31. 이주대책만족도*이주자택지 취득권리 매도여부 교차표 91
표 32. 생활대책 만족도*보상금 수령시기 교차표 92
표 33. 금전적 손실보상만족도 모형요약 94
표 34. 금전적 손실보상만족도 분석결과 95
표 35. 이주토지취득 만족도 모형요약 95
표 36. 이주토지취득 만족도 분석결과 96
표 37. 손실보상내용 만족도 모형요약 96
표 38. 손실보상내용 만족도 분석결과 97
표 39. 손실보상행정 만족도 모형요약 98
표 40. 손실보상행정 만족도 분석결과 98
표 41. 설명변수 빈도분석 결과 99
표 42. 보상만족도 모형요약 100
표 43. 보상만족도 분석결과 100
표 44. 전문가집단 특성 102
표 45. level 1, 2항목 중요도 103
표 46. level 3항목 중요도 104
표 47. 전체항목 중요도 및 우선순위 105
그림목차
그림 1. 연구흐름도 14
그림 2. 토지보상법 용지취득 및 보상절차 16
그림 3. 수용재결 세부절차 18
그림 4. 사업인정고시일 이전 협의취득시 토지보상금 산정방법 28
그림 5. 사업인정고시일 이후 토지취득시 토지보상금 산정방법 28
그림 6. 공익사업계획 공고·고시에 따른 토지가격 변동시 토지보상금 산정방법 29
그림 7. 감정평가업체 선정절차 42
그림 8. 피수용자 보상만족도 모형 66
그림 9. 연구모형 2 68
그림 10. 계층구조도 71
그림 11. 공익사업 대상지 주변현황 73
참고문헌 110
1.
국토연구원 (2009). 알기 쉬운 국토연구방법론. 안양: 국토연구원.
2.
(2007). 토지보상비가 개발사업 및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천: 인천발전연구원.
기윤환, 배지영
3.
(2011). 공정사회 구현을 위한 개발사업의 생활보상제도 정비방안 연구. 안양: 국토연구원.
김승종, 지대식, 최혁재, 최수, 이승복
4.
(2009). 신수용보상법론. 서울: 부연사.
류해웅
5.
(2008). 토지법제론. 서울: 부연사.
류해웅
6.
(2011). 공공수용제도 개선방안 연구[Ⅱ]: 적정 보상기준지가 에 관한 분석.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이호준, 김형태
7.
(2008). 국책사업의 갈등해결을 위한 보상제도 개선방안 연구. 안양:국토연구원.
정희남, 김승종, 안영아, 김영욱, 김병주, 고평채, 강문수, 정명운, 박찬호
8.
(2006). 공익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한 토지보상체계 개선 연구. 안양: 국토연구원.
지대식, 김승종, 손경환, 조판기
9.
(2007). 대규모개발사업 주변지역의 토지시장 안정화 방안. 안양: 국토연구원.
채미옥, 김용순, 김태훈, 이우진, 조판기, 송하승
10.
손실보상법제에 관한 비교 연구
(2008) 고헌환
법학 0회 피인용
11.
손실보상에서의 정당보상에 관한 법적 연구 : 토지소유자 추천제도를 중심으로
(2009) 김상규
법학 3회 피인용
12.
공익사업에 따른 손실보상제도에 관한 연구 : 정당보상을 위한 제도개선 중심으로
(2010) 김용호
행정학 0회 피인용
13.
공영개발사업의 맞춤보상에 관한 연구
(2007) 박용한
환경공학 0회 피인용
14.
(2009).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수용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해소를 위한제도적 방안. 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재현
15.
토지수용에 따른 보상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08) 박정일
법학 0회 피인용
16.
공익사업의 생활보상에 관한 연구 : 이주대책 및 생활대책을 중심으로
(2012) 박 필
환경공학 0회 피인용
17.
공영택지개발사업에서의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 분당 및 소사벌신도시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2008) 배남진
행정학 0회 피인용
18.
미국 헌법상 재산권 수용에 관한 연구
(2009) 장민선
법학 0회 피인용
19.
부동산 손실보상의 기준과 적용에 관한 연구
(2009) 조용근
환경공학 0회 피인용
20.
토지수용에 있어서 손실보상 기준에 관한 연구
(2012) 최홍연
법학 0회 피인용
21.
미국 연방헌법상 규제적 수용 법리에 관한 연구
(2006) 강운산 토지공법연구
법학 0회 피인용
22.
생활보상의 이론과 실제
(2009) 김광수 행정법연구
행정학 12회 피인용
23.
공용제한의 법리와 손실보상
(2006) 김동건 공법학연구
법학 0회 피인용
24.
토지보상금 산정을 위한 감정평가제도개선의 효과와 과제
(2008) 김성제 외 1 명 부동산연구
금융/재정 0회 피인용
25.
미국 규제적 수용에서의 권리구제
(2009) 김승종 토지보상법연구
지역/지리 0회 피인용
26.
계획제한과 손실보상에 관한 연구
(2004) 김승종 부동산연구
금융/재정 0회 피인용
27.
生活補償에 관한 一般的 考察
(2003) 金昇鍾 토지보상법연구
지역/지리 0회 피인용
28.
System and Scope of Compensation for a Loss of Living
(2006) 김영조 토지보상법연구
지역/지리 3회 피인용
29.
(2010). 공익사업에서 정당보상과 손실보상제도의 쟁점 및 개선에 대한연구.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통권 제33호, 5-47.
김용창
30.
대체지보상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007) 김원보 토지보상법연구
지역/지리 0회 피인용
31.
A Study on the Rehabilitation Measures in the Public Expropriation
(2005) 金元普 토지보상법연구
지역/지리 4회 피인용
32.
(2010). 이주대책의 개념과 특별공급의 적용법조. 행정법이론실무학회,행정법연구 제28호, 163-182.
김종보
33.
이주대책 행태분석을 통한 법제도적 개선방안
(2011) 김종하 토지공법연구
법학 0회 피인용
34.
수용관련보상금에 대한 양도소득세과세의 문제점
(2008) 김준현 법학논고
법학 0회 피인용
35.
公益共業으로 인한 間接損失의 補償 : 판례를 중심으로
(2005) 김창휘 토지공법연구
법학 0회 피인용
36.
美國의 損失補償基準에 關한 硏究 : Relocation Act를 中心으로
(2005) 김창휘 토지공법연구
법학 0회 피인용
37.
AHP 模型을 이용한 公益事業 補償要因 重要度 分析
(2011) 김형근 외 1 명 부동산학보
금융/재정 0회 피인용
38.
(2009). 계획제한에 대한 보상제도 검토. 한국토지공법학회, 토지공법연구 제43집 제2호, 31-69.
김희곤
39.
대체지보상의 내용과 문제점
(2008) 류인자 법학논총
법학 3회 피인용
40.
정당보상 왜 실현될 수 없는가? : 수용보상제도의 변천·왜곡과 주요 기본권침해내용에 관한 연구
(2003) 류하백 부동산법학
금융/재정 0회 피인용
41.
토지보상에 있어서 개발이익 배제에 관한 법제적 고찰
(2007) 류해웅 부동산연구
금융/재정 0회 피인용
42.
생활권보상의 법리와 제도에 관한 고찰
(2005) 류해웅 부동산연구
금융/재정 0회 피인용
43.
間接損失補償의 再檢討
(2008) 박균성 토지보상법연구
지역/지리 0회 피인용
44.
손실보상의 발전방향
(2008) 박균성 토지공법연구
법학 0회 피인용
45.
대단위 토지개발사업 시행을 위한 대토보상제 도입방안 연구
(2007) 박상우 외 2 명 도시행정학보
행정학 0회 피인용
46.
공용수용의 정당보상에 관한 경제학적 연구 : 공시지가 기준 보상액 산정과 기타요인 보정을 중심으로
(2011) 박성규 부동산학연구
경제학 0회 피인용
47.
公用收用의 正當補償에 關한 硏究
(2007) 박성규 전문경영인연구
경영학 0회 피인용
48.
공영개발사업의 맞춤보상에 관한 고찰
(2009) 박용한 토지보상법연구
지역/지리 0회 피인용
49.
수용관련 보상금에 대한 과세의 헌법적 문제점 : 양도소득과세를 중심으로
(2008) 박종수 법학논고
법학 0회 피인용
50.
공익사업에 따른 생활보상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010) 박필 부동산연구
금융/재정 0회 피인용
51.
(2009). 농지에 대한 양도소득세 과세특례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연구포럼, 조세연구 제9-3집, 97-125.
박훈, 정지선
52.
사업손실보상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08) 배태성 외 1 명 주거환경 : 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가정학 0회 피인용
53.
손실보상과 개발이익
(1992) 석종현 부동산연구
금융/재정 1회 피인용
54.
Just Compensation: Fair Market Value in the U.S.
(2004) 成鮮濟 토지보상법연구
지역/지리 1회 피인용
55.
택지개발사업의 대토보상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방안
(2012) 송상열 외 1 명 부동산학보
금융/재정 0회 피인용
56.
현행 토지보상제도의 문제점
(2005) 신봉기 토지공법연구
법학 0회 피인용
57.
토지개발사업에 따른 재산권 제한과 손실보상에 관한 연구
(2005) 엄수원 토지공법연구
법학 0회 피인용
58.
생활보상 및 간접손실보상 개념의 재검토
(2006) 尹秀眞 토지공법연구
법학 0회 피인용
59.
합리적 대토보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10) 윤정득 부동산학보
금융/재정 0회 피인용
60.
현금대체보상제도의 운용실태 분석 연구
(2012) 윤정란 외 2 명 대한국토계획학회지
건축공학 0회 피인용
61.
토지개발사업지구 원주민 특성과 재정착 결정요인 규명을 위한 기초연구 : 세종시를 중심으로
(2011) 윤정란 외 1 명 대한국토계획학회지
건축공학 0회 피인용
62.
미국헌법상의 연방대법원의 손실보상의 판단기준
(2006) 이기한 세계헌법연구
법학 0회 피인용
63.
간접손실보상의 재검토
(2008) 이동찬 토지공법연구
법학 0회 피인용
64.
미국에서의 토지재산권에 대한 정당한 보상의 기준 : 판례를 중심으로
(2008) 이동찬 원광법학
법학 0회 피인용
65.
미국의 토지이용규제의 기준과 그 변화에 관한 연구 : 판례를 중심으로
(2007) 이동찬 공법연구
법학 0회 피인용
66.
(2009). 정당보상의 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공법학회, 토지공법연구 제43집 제3호, 77-94.
이상훈, 석호영
67.
정당보상으로서 채권보상의 실효성 제고방안
(2007) 이헌석 토지공법연구
법학 0회 피인용
68.
A study on Restitution of Development Profit
(2006) 임윤수 법학연구
법학 0회 피인용
69.
재산권 침해에 대한 손실보상 여부에 관한 연구
(2008) 정광정 법학연구
법학 0회 피인용
70.
(2009). 토지재산권의 범위와 공용침해. 한국토지공법학회, 토지공법연구 제43집 제1호, 309-340.
정연주
71.
수용 관련 양도소득세 감면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012) 丁智善 중앙법학
법학 0회 피인용
72.
美國에서의 補償을 요하지 않는 土地規制權
(2004) 정하명 공법연구
법학 0회 피인용
73.
보상갈등의 유형화와 유형별 보상갈등 완화과제
(2010) 정희남 외 2 명 부동산·도시연구
금융/재정 0회 피인용
74.
사업손실보상
(2005) 조태제 토지공법연구
법학 0회 피인용
75.
A Study on Theory of Inhabitants Migration Measures
(2007) 주관수 도시행정학보
행정학 11회 피인용
76.
소음ㆍ진동 피해에 대한 사업손실보상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연구
(2006) 최제호 외 1 명 국토연구
지역/지리 0회 피인용
77.
사업손실의 권리구제에 관한 고찰
(2005) 최제호 외 1 명 주거환경 : 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가정학 0회 피인용
78.
정당보상 구현을 위한 손실보상 제도의 개선방안
(2011) 허강무 법학연구
법학 0회 피인용
79.
(2009). 보상평가의 감정평가업자 선정제도 개선방안. 한국토지공법학회, 토지공법연구 제43집 제3호, 131-149.
허강무
80.
공익사업과 개발이익 : 개발이익 배제 및 환수를 중심으로
(2008) 허강무 토지공법연구
법학 0회 피인용
81.
(2008). 대규모 공익사업의 개발이익배제와 환수에 관한 소고. 한국감정평가협회, 감정평가 제84호, 20-27.
허강무
82.
건설교통부 (2007). 토지보상법 개정에 따른 대토보상제 시행방안 워크숍.1-18.
83.
국민권익위원회 (2008). 부동산 감정평가 투명성 제고방안. 법령제도개선단,1-28.
84.
국민권익위원회(2007). 공공택지 개발사업의 공정성·투명성 제고방안. 국민권익위원회 제128차 전원회의 제168호, 1-42.
85.
(2012). 정당보상을 위한 감정평가사의 역할. 한국감정평가협회·한국부동산연구원 공동세미나, 1-16.
김원보
86.
(2006). 영세서민 보호 및 주민 재정착 지원을 위한 보상제도 개선방안. 『토지보상제도 개선방안』공청회 자료, 건설교통부·한국부동산연구원,...
김원보
87.
(2007). 수용토지 및 공장의 합리적 보상과 이주대책, 어떻게 할 것인가?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개정을 위한...
김원보 외
88.
주민 참여ㆍ대화모형에 기초한 보상행정의 성공사례 : 행정중심복합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2007) 남일석 국토연구
지역/지리 1회 피인용
89.
토지보상 체계에서 혼용방식의 실용성 검토
(2007) 이윤상
공학 2회 피인용
90.
(2012). 혁신도시 지가변동자료를 통해 본 보상기준시가 산정방식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KDI정책포럼 제247호, 한국개발연구원,1-7.
이호준, 김형태
91.
(2011). 공용수용 보상 관련 갈등완화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 분석.KDI정책포럼 제238호, 한국개발연구원, 1-7.
이호준
92.
(2008). 공익사업 목적으로 토지를 수용하는 「비사업용 토지 중과제도」개선되어야. 기획재정부 국정감사 보도자료, 한나라당, 4-14.
최경환
93.
(2011). 정당보상 구현을 위한 기타요인보정의 법제화 필요성. News Letter 제18호, 한국부동산연구원, 1-2.
허강무
94.
(2012). 일본에서의 공공사업과 용지보상의 동향. 한국감정평가협회·한국부동산연구원 공동세미나, 1-11.
小高剛
95.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
96.
국토해양부(http://www.mltm.go.kr)
97.
국토해양부 중앙토지수용위원회(http://clt.mltm.go.kr/intro.do)
98.
대법원(http://www.scourt.go.kr)
99.
법제처(http://www.moleg.go.kr)
100.
카인즈(http://www.kinds.or.kr)
'보상평가 > 보상절차 (사업인정, 표준지, 재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實務 토지보상 2019년> 출간, 김은유, 임승택, 김태원 변호사 공저, 파워에셋 (0) | 2019.05.31 |
---|---|
헌법재판소 결정 예정건 (토지보상법 제30조 헌법소원) (0) | 2019.05.30 |
토지보상법 제15조 (보상계획열람) 관련 질의 (0) | 2019.05.03 |
토지보상법 제68조 및 동법 시행령 28조 소유자추천 요건 중 국공유지 포함되나, 이후 국공유지 제외로 개정될 예정 (0) | 2019.05.02 |
2019.03.28선고 2016두43176 자금구조 시정을 위한 감독명령 취소청구 (바) 상고기각 (0) | 2019.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