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1장 ‘성공하는 일’에 필요한 ‘부감력’이란
왜 부감력이 필요한가 ㆍ 15
‘머리 좋은 사람’과 ‘일에서 성공하는 사람’ ㆍ 20
사회 속 집단, 집단 속 나 ㆍ 26
배려의 필요성과 위험성 ㆍ 32
일에 도움이 되는 부감력을 익히는 방법 ㆍ 37
개인 공격 문화와 부감력 결여 ㆍ 42
비난하는 문화에서 벗어나기 위해 ㆍ 47
부감력을 단련하는 두 가지 길 ㆍ 52

 

 


2장 ‘행동하는 사람’에서 ‘생각하는 사람’으로
불합리 속에 성장의 기회가 있다 ㆍ 59
사회는 일일이 보살펴주지 않는다 ㆍ 64
조직의 요구에 들어맞는 인재가 되기 위해 ㆍ 69
전체의 움직임 속에서의 나의 역할 ㆍ 74
상하관계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의식한다 ㆍ 80
부정적인 대화를 원활하게 이끌기 위해 ㆍ 85
상사가 되면 신경 써야 할 것 ㆍ 90

 

 


3장 나를 올바르게 인식하자―부감력을 단련하는 1단계
자신과 거리를 두다 ㆍ 99
타인을 가상체험 해보다 ㆍ 105
자신을 공정하게 대하다 ㆍ 110
자신 능력의 본질을 확인하다 ㆍ 116
마인드 컨트롤하다 ㆍ 121
마음속 선입견을 파악하다 ㆍ 127
자신의 사고의 ‘축’을 찾아내다 ㆍ 132

 

 


4장 다른 사람이 본 나를 상상해보자―부감력을 단련하는 2단계
상대편이 생각하는 인상에 주의하다 ㆍ 141
사회적 지위 활용법 ㆍ 146
다수파와 소수파의 입장 차를 생각하다 ㆍ 151
사람으로 인한 피곤함을 피할 수 있는 비결 ㆍ 157
어떻게 보일지에 휘둘리지 않는 방법 ㆍ 164

 


5장 전체의 구조를 보면서 행동하자―부감력을 단련하는 3단계
해설자의 일을 통해 1-시점 제공력 ㆍ 173
해설자의 일을 통해 2-태도와 접점 ㆍ 181
설득력 있는 스토리를 만든다 ㆍ 185
대립하는 상대는 ‘부정’이 아니다 ㆍ 190
조직의 논리를 어떻게 마주할까 ㆍ 195
전방위적인 관찰을 익힌다 ㆍ 200

 

 

 

 

 

 

 부감력 -> 전체를 바라보는 힘

 

폭넓은 시야를 갖는다는 것은 '타인의 시점을 갖는다는 것'

 

부감력 키우기 3단계

 

1. 먼저 손을 움직인다

2. 손을 움직이면서 머리를 움직인다

3. 머리를 움직이는 범위를 점차 넓혀나가 '전체를 바라본다'

 

결론 : 별 내용 없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