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3-04-02 20:53
화요특강-수험법학방법론4 총론 마지막(법학의 논리구조와 판례의 이해) |
글쓴이 : 옥신
조회 : 530 |
안녕하세요.. 의도치 않게 몇몇 질문글에 답변달다가.어느덧 꽤나 많은 글들을 쓰게 되었네요. 제가 이런 글들을쓰는 이유는 잘난체하기 위함도 아니고 시간이 남아서는 더더욱 아닙니다.(저도 공부한다니깐요) 그저 부족한 한 수험생으로서의 자기 반성문일 뿐이지요 혹시라도 단 한분에게 라도 도움이 되신다면 너무나도 큰 보람이구요..
2. 목적과 수단의 논리구조
3. 원칙과 예외의 논리구조
4. 규범과 현실의 논리구조
5. 외관 법리의 논리구조
6 .이익형량의 논리구조
7. 개념법학의 논리구조
이런식으로 7가지로 나누어 진다고 합니다,
7 개념법학의 논리구조는 모든 법개념은 포섭을 위한 그릇과 같은 것으로서 크게
6가지로 나눠지고 이는 (1)주체 (2)객체 (3)시간 (4)방법 (5)목적 (6)행위로 나뉘어
진다고 보고 있습니다 . 마치 육하원칙에 의하듯 법학개념의 형성은 이 6가지의
하부요소를 통해 형성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예를 들자면 1 형식과 실질의 경우 헌법에서 형식적,실질적법치주의의 예를 들 수 있고.2 목적
과수단은 기본권과 제도 3 원칙과 예외는 뭐 너무 많으니 패스, 4규범과 현실은 가등기담보법이 태동
하게 된 원인, 5외관법리는 민,상법상의 많은 표현제도. 6 이익형량의 구조는 많은 경우 전원합의체판
례에서 대립하는것 등을 볼수 있죠.
이런 식으로 논리구조를 가지고 책을 읽으면 이해력이 높아지고, 암기부담이 줄며 복잡한 논의라도 체계를 빨리 파악할 수 있다고 합니다.. 사실 저도 책읽을 때 많이 써먹지는 못했지만 어느정도 논리의 틀을 가지고 읽으면 책에 쓰여 있는 다양한 논의들이 위의 논리에 포섭되고 유형화 가능한건 맞는거 같습니다.. 그래서 정변호사는 이걸 법학의 문법이라고도 부른다 하더군요..
(음양화평지인 註 : 필자가 강의를 수강할 당시 <법학의 문법> 출간한다고 하였으나 4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출간이 되지 않고 있음. ㅠㅠ)
무턱대고 보는것보단 나은거 같으니 그냥 참고하시면 될듯합니다
(2)법조문은 존재하나 그 해석이나 적용범위가 불명확한 경우
(3)법조문끼리 상호충돌을 하거나 모순되는 것으로 보이는 경우
(4)법조문이 예정하지 아니하였던 새로운 사회현실이 발생한 경우
위 4가지 경우로 대부분 포섭이 가능합니다
님은 법학공부에 소질이 있는겁니다.^^ 그러니까 판례의 이해를 위해서는 반드시 조문 공부 열
심히 하세요..
(음양화평지인 註 : 필자는 감정평가사 수험생 시설 정준모 변호사의 법학공부방법론 강의를 수강하하였으며, 이후 감정평가이론 공부하면서 큰 도움을 받았고 지금도 많은 도움이 되고 있음. )
2-2 판례는 어떻게 공부해야하나
|
'사법시험, 로스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 7. 21. 선고 2013도850 전원합의체 판결 〔의료법위반〕 (0) | 2016.09.27 |
---|---|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법무법인 지향 변호사들, 궁리, 2016 (0) | 2016.05.20 |
수험법학방법론 3 (공부하는데 있어 정신자세) (0) | 2016.03.01 |
수험법학방법론 2 (0) | 2016.02.29 |
수험법학방법론 1 (출처 : 법률저널 게시판) (0) | 2016.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