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흐름의 가정]
1. (주)국세의 4월 매출액은 ₩20,000이며, 매출총이익률은 30%이다. (주)국세의 공장에서 4월에 발생한 원가관련 자료는 다음과 같다.
․ 4월에 매입한 직접재료금액은 ₩4,500이다. ․ 4월 1일 미지급임금은 ₩2,000이며, 4월 30일 미지급임금은 ₩4,000이다. ․ 4월에 지급한 임금은 ₩6,000이다. ․ (주)국세의 공장에서 발생한 임금의 50%는 생산직 종업원의 임금이다. ․ 4월에 발생한 제조간접원가 중 임금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1,500이다. |
(주)국세의 4월 1일 재공품 금액은 얼마인가?[세무사 11]
① ₩2,500 ② ₩3,000 ③ ₩3,500 ④ ₩4,000 ⑤ ₩5,000
[개별원가계산]
2. (주)국세는 개별-정상원가계산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주)국세는 제조간접원가를 예정배부하며, 예정배부율은 직접노무원가의 60%이다. 제조간접원가의 배부차이는 매기 말 매출원가에서 전액 조정한다. 당기에 실제 발생한 직접재료원가는 ₩24,000이며, 직접노무원가는 ₩16,000이다. 기초재공품은 ₩5,600이며, 기말재공품에는 직접재료원가 ₩1,200과 제조간접원가 배부액 ₩1,500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기초제품은 ₩5,000이며, 기말제품은 ₩8,000이다.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를 조정한 매출원가가 ₩49,400이라면, 당기에 발생한 실제 제조간접원가는 얼마인가?[세무사 11]
① ₩7,200 ② ₩9,600 ③ ₩10,400 ④ ₩12,000 ⑤ ₩13,200
3. (주)수지는 제품 A와 제품 B를 생산하고 있는데 두 제품은 모두 제조부문 X와 제조부문 Y를 거쳐야 한다. 제조부문 X에서 발생한 제조간접원가는 각 제품이 소비한 기계시간을 기준으로 배부하고, 제조부문 Y에서 발생한 제조간접원가는 각 제품이 소비한 노무시간을 기준으로 배부한다. 또한 각 제조부문의 제조간접원가는 월별로 실제 배부한다.
다음은 5월 중 제품 A와 제품 B를 생산하는 데 각각 소비한 기계시간과 노무시간 그리고 각 제품에 최종적으로 배부된 제조간접원가 자료이다.
구분 |
제품 A |
제품 B |
합계 |
기계시간 |
10시간 |
30시간 |
40시간 |
노무시간 |
90시간 |
60시간 |
150시간 |
제조간접원가배부액 |
₩870,000 |
₩930,000 |
₩1,800,000 |
제조부문 X에서 5월 중 발생한 제조간접원가는 얼마인가? [CPA 11]
① |
₩600,000 |
② |
₩720,000 |
③ |
₩800,000 |
④ |
₩960,000 |
⑤ |
₩1,080,000 |
|
|
[ABC회계]
4. 다음은 단일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주)국세의 연간 활동원가 예산자료와 4월의 활동원가 자료이다.
․ 4월 중에 생산한 제품의 활동원가 자료
|
활동기준원가계산에 의할 경우, (주)국세가 4월 중에 생산한 제품의 활동원가 금액은 ₩1,050,000으로 계산되었다. (주)국세가 4월 중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재료의 이동횟수는 얼마인가?[세무사 11]
① 95회 ② 96회 ③ 97회 ④ 98회 ⑤ 99회
[종합원가]
5. (주)국세는 단일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종합원가계산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직접재료는 공정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100% 투입되며, 가공원가는 공정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한다. 평균법과 선입선출법에 의한 가공원가의 완성품환산량은 각각 85,000단위와 73,000단위이다. 기초재공품의 가공원가 완성도가 30%라면, 기초재공품 수량은 몇 단위인가?[세무사 11]
① 12,000단위 ② 21,900단위 ③ 25,500단위 ④ 36,000단위 ⑤ 40,000단위
[결합원가]
구분 |
생산량 |
단위당 최종 판매가격 |
A |
2,000kg |
₩200 |
B |
2,000kg |
₩100 |
C |
2,500kg |
₩160 |
6. (주)국세는 동일 공정에서 세 가지 결합제품 A, B, C를 생산하고 있으며 균등이익률법을 사용하여 결합원가를 배부한다. A와 B는 추가가공을 거치지 않고 판매되며, C는 추가가공원가 ₩200,000을 투입하여 가공한 후 판매된다. 결합제품의 생산량 및 단위당 최종 판매가격에 대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C제품에 배부된 결합원가가 ₩120,000인 경우, 총 결합원가는 얼마인가? (단, 공손 및 감손은 발생하지 않았고, 기초 및 기말재공품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세무사 11]
① ₩600,000 ② ₩620,000 ③ ₩640,000 ④ ₩660,000 ⑤ ₩680,000
[전부ㆍ변동원가계산]
7. 20X1년 초에 설립된 (주)국세는 노트북을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다. (주)국세는 재고자산의 원가흐름 가정으로 선입선출법을 적용하며, 실제원가계산으로 제품원가를 산출한다. (주)국세의 매월 최대 제품생산능력은 1,000대이며, 20X1년 1월과 2월의 원가자료는 다음과 같다.
구 분 |
1월 |
2월 |
생 산 량 |
900대 |
800대 |
판 매 량 |
800대 |
? |
고정제조간접원가 |
₩180,000 |
₩200,000 |
2월의 전부원가계산 하의 영업이익이 변동원가계산 하의 영업이익보다 ₩20,000만큼 큰 경우, (주)국세의 2월 말 제품재고수량은 얼마인가? (단, 매월 말 제공품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세무사 11]
① 160대 ② 170대 ③ 180대 ④ 190대 ⑤200대
8. 단일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는 (주)갑을의 개업 첫 달 영업결과는 다음과 같다.
․ 생산량은 450개이며, 판매량은 300개이다. ․ 제품의 단위당 판매가격은 ₩7,000이다. ․ 판매관리비는 ₩100,000이다. ․ 초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은 ₩125,000이다. ․ 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은 ₩350,000이다 ․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은 ₩500,000이다. ․ 제조원가는 변동원가인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 고정원가인 제조간접원가로 구성되어 있다. ․ 월말 재공품은 없다. |
당월에 발생한 총제조원가는 얼마인가? [CPA 11]
① |
₩1,800,000 |
② |
₩1,875,000 |
③ |
₩2,100,000 |
④ |
₩2,250,000 |
⑤ |
₩2,475,000 |
|
|
[CVP 분석]
9. (주)국세는 단일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주문받은 수량만을 생산하여 해당 연도에 모두 판매한다. (주)국세의 법인세율은 40% 단일세율이며, 관련 자료는 다음과 같다.
구 분 |
20X1년 |
20X2년 |
매 출 액 |
₩2,000,000 |
₩2,500,000 |
제품단위당 변동원가 |
600 |
720 |
총고정원가 |
400,000 |
510,000 |
(주)국세의 20X1년 세후이익은 ₩240,000이며, 20X2년 세후이익은 20X1년보다 10% 증가하였다. (주)국세의 20X2년 공헌이익률은 얼마인가?[세무사 11]
① 36% ② 38% ③ 40% ④ 42% ⑤ 44%
[관련원가]
10. 선풍기 제조회사인 (주)국세는 소형모터를 자가제조하고 있다. 소형모터 8,000개를 자가제조하는 경우, 단위당 원가는 다음과 같다.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변동제조간접원가 특수기계 감가상각비 공통제조간접원가 배부액 제품원가 |
₩7 3 2 2 5 ₩19 |
(주)한국이 (주)국세에게 소형모터 8,000개를 단위당 ₩18에 공급할 것을 제안하였다. (주)국세가 (주)한국의 공급제안을 수용하는 경우, 소형모터 제작을 위해 사용하던 특수기계는 다른 용도로 사용 및 처분이 불가능하며, 소형모터에 배부된 공통제조간접원가의 40%를 절감할 수 있다. (주)국세가 (주)한국의 공급제안을 수용한다면, 자가제조하는 것보다 얼마나 유리 또는 불리한가?[세무사 11]
① ₩24,000 불리 ② ₩32,000 불리 ③ ₩24,000 유리
④ ₩32,000 유리 ⑤ 차이없음
11.(주)국세는 세 종류의 제품 A, B, C를 독점하여 생산·판매하고 있다. 제품생산을 위해 사용되는 공용설비의 연간 사용시간은 총 80,000시간으로 제한되어 있다. 20X1년도 예상 자료는 다음과 같다.
구 분 |
제품 A |
제품 B |
제품 C |
단위당 판매가격 |
₩1,000 |
₩1,500 |
₩2,000 |
단위당 변동원가 |
₩300 |
₩600 |
₩1,200 |
단위당 공용설비사용시간 |
10시간 |
20시간 |
16시간 |
연간 최대시장수요량 |
2,000단위 |
3,000단위 |
2,000단위 |
위 자료에 근거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세무사 11]
① 제품단위당 공헌이익이 가장 큰 제품은 A이다.
② 공용설비사용시간 단위당 공헌이익이 가장 큰 제품은 C이다.
③ (주)국세가 20X1년에 획득할 수 있는 최대공헌이익은 ₩4,260,000이다.
④ (주)국세가 20X1년 공헌이익을 최대화하는 경우, 생산된 총 제품수량은 5,500개이다.
⑤ (주)국세가 20X1년 공헌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제품 C, 제품 B, 제품 A의 순서로 생산한 후 판매해야 한다.
※ 다음 자료에 의하여 문제 12번과 13번에 답하시오.
(주)동운은 두 개의 제조부문(P1, P2)과 세 개의 보조부문(S1, S2, S3)을 가지고 있으며, 부문 간의 용역수수관계와 보조부문의 원가자료는 다음과 같다.
사용부문 공급부문 |
제조부문 |
보조부문 |
합계 | |||
P1 |
P2 |
S1 |
S2 |
S3 | ||
S1 S2 S3 변동원가 고정원가 |
4,000단위 5,000단위 4,000단위 ? ? |
3,000단위 4,000단위 5,000단위 ? ? |
0단위 1,000단위 1,000단위 ₩300,000 ₩500,000 |
1,500단위 0단위 0단위 ₩200,000 ₩100,000 |
1,500단위 0단위 0단위 ₩100,000 ₩200,000 |
10,000단위 10,000단위 10,000단위 ? ? |
(주)동운은 동일한 생산수준을 유지하면서 보조부문 S1의 용역을 모두 외부로부터 구입하고자 하며, 이 경우에 보조부문 S1의 고정원가 10%, 보조부문 S2의 고정원가 5%, 보조부문 S3의 고정원가 5%가 각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12. 보조부문 S1의 용역을 모두 외부로부터 구입하는 경우, (주)동운이 필요로 하는 보조부문 S1의 용역은 몇 단위인가?[CPA 11]
① 9,600단위 ② 9,700단위 ③ 9,800단위
④ 9,900단위 ⑤ 10,000단위
13. 보조부문 S1의 용역을 모두 외부로부터 구입하는 경우, (주)동운이 외부구입으로 인한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고 지불할 수 있는 보조용역 S1의 최대 구입금액은 얼마인가? [CPA 11]
① ₩365,000 ② ₩375,000 ③ ₩385,000
④ ₩395,000 ⑤ ₩405,000
[종합예산]
14. 단일상품을 구입하여 판매하고 있는 (주)국세는 20×1년 초에 당해 연도 2분기 예산을 편성 중에 있다. 20×1년 4월의 외상매출액은 ₩3,000,000, 5월의 외상매출액은 ₩3,200,000 그리고 6월의 외상매출액은 ₩3,600,000으로 예상된다. (주)국세의 매출은 60%가 현금매출이며, 40%가 외상매출이다. 외상매출액은 판매일로부터 1달 뒤에 모두 현금으로 회수된다. (주)국세는 상품을 모두 외상으로 매입하며, 외상매입액은 매입일로부터 1달 뒤에 모두 현금으로 지급한다. (주)국세는 다음 달 총판매량의 20%를 월말재고로 보유하며, 매출총이익률은 20%이다. (주)국세가 20×1년 5월 중 상품 매입대금으로 지급할 현금은 얼마인가? (단, 월별판매 및 구입단가는 변동이 없다고 가정한다.)[세무사 11]
① ₩6,000,000 ② ₩6,080,000 ③ ₩6,400,000 ④ ₩6,560,000 ⑤ ₩6,600,000
[대체가격]
15. 다음 중 내부대체가격의 결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타당하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CPA 11]
① 내부대체가격은 공급부문과 구매부문의 성과평가에 영향을 미치며, 각 부문의 자율적인 내부대체가격의 결정은 기업전체의 이익을 최대화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② 전부원가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 공급부문의 이익을 보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부원가에 제품의 단위당 공헌이익을 가산하여 내부대체가격을 결정하여야 한다.
③ 제품의 원가를 기준으로 내부대체가격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제품원가의 계산방법과 공급부문의 유휴생산능력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④ 공급부문에 유휴생산능력이 없고 외부시장이 완전경쟁적일 경우에는 제품의 시장가격이 기업 전체의 이익을 최대화할 수 있는 내부대체가격이 될 수 있다.
⑤ 공급부문에 충분한 유휴생산능력이 있는 경우에는 기업 전체의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제품의 표준변동원가를 내부대체가격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원가흐름의 가정]
[문제 1][정답] ⑤ 직접재료비 사용액 = ₩1,000 + 4,500 - 2,000 = ₩3,500 직접노무비 발생액 = ₩6,000 + 4,000 - 2,000 = 8,000 × 50% = ₩4,000 제조간접비 = ₩4,000 + 1,500 = ₩5,500 당기총제조원가 = ₩13,000 기초제품재고액 + 당기제품제조원가 - 매출원가 = 기말재고 ₩3,000 +X -(20,000 × 70%) = ₩4,000 X = ₩15,000 기초재공품 + 당기총제조원가 - 기말재공품 = 당기제품제조원가 X + 13,000 - 3,000 = ₩15,000 X = ₩5,000 [개별원가계산]
[문제 2][정답] ④ 당기총제조원가 = ₩24,000 + ₩16,000 + ₩16,000 60% = ₩49,600 당기제품제조원가 = ₩5,600+₩49,600-(₩1,200+₩2,500(역산) +₩1,500) = ₩50,000 매출원가 = ₩5,000 + ₩50,000 - ₩8,000= ₩47,000 매출원가에 배부된 제조간접비 배부차이 = ₩49,400 - ₩47,000 = ₩2,400(과소배부) 실제매출원가 = 배부된 제조간접비 ₩9,600 + 배부차이 ₩2,400 = ₩12,000 [문제 3] ① 제조부문X의 제조간접비 배부율을 기계시간당 x라 하고, 제조부문의Y의 제조간접비 배부율을 노무시간당 y라고 하면 10시간×x+90시간×y=₩870,000 30시간×x+60시간×y=₩930,000 ∴x=₩15,000/기계시간, y=₩8,000/노무시간 따라서, 제조부문에서 5월 중 발생한 제조간접원가: 40시간×@15,000=₩600,000 [ABC회계]
[문제 4][정답] ① 재료이동 : 재료이동횟수 = ?(95회) × (₩5,000,000/ 1,000회) = 역산 ₩475,000 성형 : 제품생산량 = 2,000개 × (₩3,000,000/24,000단위) = ₩250,000 도색 : 500시간 × (₩1,500,000/6,000시간) = ₩125,000 조립 : 200시간 × (₩2,000,000/2,000시간) = ₩200,000 합계 ₩1,050,000 [종합원가]
[문제 5][정답] ⑤ 선입선출법과 평균법의 완성품환산량의 차이는 기초재공품의 가공도 차이만큼 발생한다. 기초재공품 × 30% = (85,000단위 - 73,000단위) 기초재공품 = 40,000단위 [결합원가]
[문제 6] [정답] ①
제품 A 제품 B 제품 C 합 계 매출액 400,000 200,000 400,000 1,000,000 결합원가 (120,000) (?)(600,000) 추가가공원가 (200,000) (200,000) 이익 80,000(20%) 200,000
[전부ㆍ변동원가계산]
[문제 7][정답] ①
1월 단위당 고정제조간접비 = ₩180,000/900대 = ₩200
2월 단위당 고정제조간접비 = ₩200,000/800대 = ₩250
변동원가계산 영업이익 = X
기말재고자산에 포함된 고정제조간접비 = ? = ₩40,000(역산) = ₩250 × 160개(역산)
기초재고자산에 포함된 고정제조간접비 = 100개 × ₩200 = ₩20,000
전부원가계산 영업이익 = X + ₩20,000
[문제 8] ④
⑴ 기말재고수량: 450단위-300단위=150단위
⑵ 초변동원가계산과 전부원가계산의 영업이익차이에서 단위당 가공원가를 구하면,
(₩500,000-₩125,000)÷150단위=₩2,500/단위
⑶ 초변동원가계산의 영업이익에서 단위당 직접재료원가를 구하면,
300단위×(₩7,000-DM)-450단위×₩2,500/단위-₩100,000=₩125,000
∴DM=₩2,500/단위
따라서, 당월발생 총제조원가: 450단위×(₩2,500+₩2,500)=₩2,250,000
[CVP 분석]
[문제 9] [정답] ②
공헌이익률 = [510,000 + 264,000/(1-0.4)]/ 2,500,000 = 38%
[관련원가]
[문제 10] [정답] ②
특별주문을 수락하는 경우
증분수익 8,000개 × (₩7+3+2+2) = ₩112,000
증분비용 8,000개 × ₩18 = ₩144,000
증분이익(증분손실) (₩32,000)
[문제 11][정답] ③
구 분 |
제품 A |
제품 B |
제품 C |
합 계 |
단위당 공헌이익 |
₩700 |
₩900 |
₩800 |
|
단위당 공용설비사용시간 |
10시간 |
20시간 |
16시간 |
|
시간당 공헌이익 |
₩70① |
₩45③ |
₩50② |
|
필요한 시간 |
20,000시간 |
60,000시간 |
32,000시간 |
|
생산 이용 시간 |
20,000시간 |
28,000시간 |
32,000시간 |
|
최대 공헌이익 |
₩1,400,000 |
₩1,260,000 |
₩1,600,000 |
₩4,260,000 |
생산된 제품수량 |
2,000단위 |
1,400단위 |
2,000단위 |
5,400단위 |
[문제12] ②
보조부문 S1의 용역을 모두 외부로부터 구입하는 경우,
(주)동운이 필요로 하는 보조부문 S1의 용역
=보조부문 유지시 필요용역량×(1-보조부문간 용역수수에 따른 자가소비율)
=10,000단위×(1-0.15×0.1-0.15×0.1)=9,700단위
[문제 13] ④
|
S1 |
S2 |
S3 |
합 계 |
변동원가 |
₩300,000 |
₩200,000×10%=20,000 |
₩100,000×10%=10,000 |
₩330,000 |
고정원가 |
₩500,000×10%=50,000 |
₩100,000×5%=5,000 |
₩200,000×5%=10,000 |
65,000 |
합 계 |
₩350,000 |
₩25,000 |
₩20,000 |
₩395,000 |
[종합예산]
[문제 14][정답] ②
5월 중 상품 매입대금 = 4월 외상매입액
4월 매출액 = ₩7,500,000 5월 매출액 = ₩8,000,000
4월 기초상품재고 = ₩7,500,000 × 0.8 × 0.2 = ₩1,200,000
4월 매출원가 = ₩7,500,000 × 0.8 = ₩6,000,000
4월 기말상품재고 = ₩8,000,000 × 0.8 × 0.2 = ₩1,280,000
4월 외상매입액 = ₩6,000,000 + ₩1,280,000 - ₩1,200,000 = ₩6,080,000
[대체가격]
[문제 15] [정답] ②
공급사업부의 대체가격은 변동원가에 단위당 공헌이익(기회비용)을 고려하여 대체가격을 설정한다.
'감정평가사 1차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상철 교수님 부동산 관계법규 기출문제 해설 (0) | 2014.11.14 |
---|---|
김현식 CPA의 1차 시험을 앞둔 이들에게 전하는 당부의 말 (감평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 듯) (0) | 2014.06.09 |
2011년도 공인회계사 , 세무사 회계학 기출문제 해설 및 답안 (재무회계) (0) | 2014.06.04 |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기대와 우려 (0) | 2014.05.28 |
감정평가사 경제학 기출경향 분석표 (함경백 강사님) (0) | 2014.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