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수십만 뉴타운,재개발,재건축 조합원이라면
반드시 읽어야할 좋은책이라 생각되어 추천드립니다.
정비사업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는 조합원들을 위한 『죽은 조합원 살리기』. 기존의 정비사업이 개발 이익을 내지 못한 이유, 정비사업을 둘러싸고 있는 용역업체 등의 허위 사업비 및 사업비 부풀리기로 인한 피해, 조합과 용역업체 간의 비리를 묵인하고 방조한 행정부처의 문제점, 이러한 비리를 바로잡지 못한 수사기관과 세무행정기관의 문제점 등을 알린다.
목차
■ 들어가며
1. 정비사업비 절감이 중요한 이유
2. 정비사업비 인상을 하는 과정
3. 철거비리의 유형
가. 철거업체 선정과정 비리의 유형
나. 고철매각대금의 횡령,배임
다. 철거비의 과다책정으로 인한 손해
라. 철거비의 임의 분할(수도, 전기, 가스 철거비의 별도 산정)
마. 석면 철거 관련 사업비의 이중계약 또는 부풀리기를 통한 횡령, 배임
바. 수용재결 사업비의 횡령,배임
사. 이주관리 사업비의 횡령,배임
아. 범죄예방대책비의 횡령,배임
자. 수방대책비, 제설대책비의 횡령,배임
차. 철거감리 용역비의 횡령, 배임
4. 행정청의 횡포
가. 국공유지 매각대금 산정방법 및 비리 확인 요령
나. 국공유지 무상양도 관련 허위 용역비의 등장
다. 정비기반시설 용역비의 과다계상 또는 이중계상
라. 국토교통부 표준정관, 무엇이 문제인가
마. 서울시 클린업시스템의 문제점
바. 각 시, 구청 등 인가 관청 공무원의 문제점
5. 정비사업전문관리업체의 문제점
6. 오에스 업체, 정비사업에 필요악인가
가. 서면결의서 위조, 왜 가능한 것인가
나. 서면결의서 위조, 어떻게 이루어지나
다. 서면결의서 위조, 대안은 없는 것인가
7. 그 외의 사업비 절감 방안
가. 시공사와의 도급계약서
나. 이주비 이자의 각자 지급
다. 임대주택 매각사업비의 현실화
라. 신탁등기와 관련한 문제(재건축조합의 경우)
마. 조합 이사회의 파행적 운영 방지 방안 마련 필요
■ 마치며
[부록]
· 진술조서(예시)
· 임대주택 매각가격 산정방법
· 석면이 포함된 경우의 철거감리 지침(철거 현장 환경피해 최소화 방안 세부 시행 지침)
네이버 카페 《서면결의서위조방지대책위원회》
'재개발, 재건축 등 정비사업 평가 > 재개발, 재건축 등 정비사업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환경정비사업과 분양대상 관련 유권해석 (다가구주택을 다세대로 전환) (0) | 2015.11.07 |
---|---|
도시정비사업에서 현금청산의 몇 가지 법적 쟁점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성중탁) (0) | 2015.11.02 |
2015.7.9 선고 2015두35468판결 (정비기반시설보조금반려처분취소) (0) | 2015.09.25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상 매도청구가액 및 수용보상금 산정에 관한 연구 (0) | 2015.09.24 |
도정법 제47조에 따른 분양신청 하지 않은자에 대한 현금청산 평가시 토지보상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0) | 2015.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