脫아파트 新주거문화 시대…공동체주택·패시브하우스 '각광'
[부동산시장 뉴 트렌드<5·끝>]새로운 주거문화 시작…'맞춤형 주거복지' 사회주택 눈길
주거안정성+임대수익 일석이조 점포+단독주택지 인기
'아껴야 잘 산다'…에너지 효율 높인 패시브하우스 등
서울 마포구 서교동에 들어서는 '토지임대부 공동체주택' 1호 주택 조감도. /제공=소통이 있어 행복한 주택 © News1 |
최근 주택시장에서 두드러지는 변화 중 하나는 새로운 주거문화가 뜨고 있다는 것이다. 공동체주택 등 사회주택이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신(新) 주거문화로 자리잡고 있다. 주거 안정성과 임대소득 등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을 수 있는 점포겸용 단독주택용지도 연일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또 냉·난방비가 저렴한 패시브하우스도 요즘 뜨는 '잇(it)' 하우스다.
◇공공·민간영역서 두루 주목받는 '사회주택'
새로운 주거문화로 각광받고 있는 모델은 '사회주택'이다. 협동조합과 비영리기업이 주택을 짓거나 매입해 주거취약계층에 공급하는 형태의 임대주택이다.
민간 건설사가 내놓는 민간임대주택은 소득이 매우 낮은 저소득층에게는 사각지대고 LH(한국토지주택공사)나 서울시 SH공사가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은 재정부담과 사회적 편견 등의 이유로 더 이상 확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소통이 있어 행복한 주택만들기(소행주)'가 지난 4일 마포구 서교동에 착공한 토지임대부 공동체주택이다. 총 8가구가 어우러져 살게 되는데 10월 말 쯤 입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는 중랑구 신내동에도 이 같은 토지임대부 공동체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사회적 기업 등 비영리 민간단체가 주도하기 때문에 공공성을 유지하면서도 공공자금도 적게 들어가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이 같은 사회주택을 뒷받침하기 위해 지난 1월부터 '사회주택 활성화 지원 등에 관한 조례'를 시행했다. 사회주택 사업을 하려는 민간단체는 일정한 절차를 거쳐 서울시로부터 토지임대 혜택과 사회투자기금 대출 등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시는 이런 식으로 2018년까지 공급할 임대주택 중 상당수를 사회주택 방식으로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민간영역에서도 사회주택은 각광받고 있다. 비영리 민간단체가 공공자금의 손을 빌려 기존 주택을 매입하거나 신규 건축하는 방식이다. 함께주택협동조합, 소행주, 민달팽이 주택협동조합 등이 주도적으로 나서고 있다.
사회주택이 확산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도 적지 않다. 한정운 소행주 팀장은 "토지임대부 공동체주택 방식은 현재까지 대출상품이 없어 건축비를 조달하기가 만만치 않다"며 "이 방식을 계속 이끌어 나가려면 관련 대출 상품이 출시돼 비용 조달을 원활하게 만들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셰어하우스도 청년층의 주거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셰어하우스는 각각의 독립된 주거공간외에 거실이나 주방, 식사공간 등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용공간을 별도로 둔 주거형태이다. 공용공간을 함께 쓰기 때문에 임대비용이 상대적으로 적어 젊은 층에게 인기가 있다.
2015.05.31/뉴스1 © News1 |
◇평균 경쟁률 수백대 1…점포겸용 주택용지 인기
점포겸용 단독주택용지도 주목받고 있다. 점포겸용 단독주택용지는 상가와 단독주택을 모두 지을 수 있는 땅이다.
LH가 의정부 민락2지구에서 내놓은 점포겸용 단독주택용지 11필지에는 3379명이 청약을 신청했다. 평균경쟁률이 307대 1에 달한다. 민락천을 따라 조성된 단독주택용지 1필지는 경쟁률이 1352대 1까지 치솟기도 했다.
양주옥정지구도 점포겸용 단독주택용지 79필지에 4024명의 신청자가 몰려 최고 1027대 1·평균 5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수도권 뿐만 아니라 지방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다. 평균 경쟁률이 1000대 1을 넘은 곳도 있다. 원주기업도시 점포겸용 단독주택용지 분양 접수에서 85필지 공급에 11만8000여명이 몰려 1390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나타냈다. 최고경쟁률은 6200대 1까지 뛰었다. 충남 공주 신금지구도 평균 494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점포겸용 단독주택용지의 인기 비결은 집과 상가를 함께 지을 수 있다는 점이다. 집만 지어서 세를 놓으면 주택 임대료가 떨어질 때 속수무책이지만 상가가 있으면 상가 임대료로 보전할 수 있어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다. 통상 1층에는 상가를 들이고 2~4층에 다가구·다세대 주택을 짓는다.
저금리 기조도 점포겸용 단독주택용지의 인기를 끌어올리고 있다. 목돈을 은행에 예금해두는 것보다 높은 수익률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높은 경쟁률만 믿고 성급하게 투자해서는 곤란하다고 조언한다. 김규정 NH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일반 단독주택보다는 유동인구나 상권 등 입지에 민감한 상품인 만큼 투자에 앞서 주변 상황과 가격을 꼼꼼히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아파트형 패시브하우스인 ´제로카본 그린홈´ /제공=한국건설기술연구원 © News1 |
◇'건축비 들어도 생활비 아끼자' 패시브하우스 조용한 바람
패시브하우스도 최근 뜨는 주택 모델이다. 첨단 단열공법을 이용해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한 주택이다. 실내의 열을 보존하기 위해 3중 유리창을 설치하고 단열재도 일반 주택에서 사용하는 두께의 3배인 30cm 이상으로 설치한다.
패시브하우스의 가장 큰 장점은 '주거비 절감'이다. 냉·난방을 하지 않고도 실내 온도를 20도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패시브하우스는 일반 주택에 비해 80% 정도의 에너지를 아낄 수 있다. 전원주택의 경우 아파트보다 겨울철 난방비가 많이 드는 점을 고려하면 적지 않은 돈을 절약할 수 있다.
관련 산업도 뜨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패시브하우스 개념이 퍼지지 않았을 때는 자재 대부분을 독일 등에서 수입해왔다"며 "최근에는 국내 업체들도 패시브하우스 자재를 생산하고 있고 국산화도 상당부분 이뤄져 건축비도 점점 줄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여전히 비싼 건축비가 건축비가 걸림돌이다. 패시브하우스의 3.3㎡당 건축비는 500만~600만원 선이다. 일반 주택(3.3㎡당 350만~400만원)보다 1.7배 가량 비싸다.
한 건축업자는 "패시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 3.3㎡당 200만원 안팎의 추가 공사비를 흔쾌히 받아들이는 건축주는 드물다"면서도 "건물의 생애주기를 감안해 볼 때 오래 살수록 크게 이득이 되는 구조"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정부도 이같은 점을 인식하고 2017년까지는 패시브하우스, 2025년까지는 제로에너지하우스 수준을 목표로 단열기준 등을 계속해서 강화해 나가고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도 고층 건물에 적용할 수 있는 패시브하우스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notepad@
'경매 감정평가 > 경매 감정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법원 2013.3.14. 선고 2011다58701 판결 (공유지분권 사용수익 특약 승계 관련 법리) (0) | 2015.08.30 |
---|---|
경매 감정평가 부디 제대로 해줬으면 좋겠다. (출처 : 만끽옥션) -> 모든 경매평가가 반드시 이런것은 아님에 유의할 것. (0) | 2015.08.22 |
위반건축물 낙찰시 체납된 이행강제금은 어떻게 될까? (0) | 2015.08.17 |
대법원 2003. 5. 30. 선고 2002다21592,21608 판결 (독립된 부동산으로서의 요건 최소한의 기둥, 지붕, 주벽의 의미) (0) | 2015.08.03 |
다세대주택 등기부상 면적과 집합건축물대장상 면적이 상이한 경우 (0) | 2015.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