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3. 26. 선고 2012다4824 판결 〔구상금〕
제조물의 결함 때문에 발생한 영업 손실로 인한 손해가 제조물 책임법의 적용 대상인지 여부(소극)
제조물책임이란 제조물에 통상적으로 기대되는 안전성을 결여한 결함으로 인하여 생명⋅신체 또는 재산에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 제조업자 등에게 지우는 손해배상책임인데, ‘제조물에 대하여만 발생한 재산상 손해’는 여기서 제외된다(제조물 책임법 제3조 제1항).
그리고 ‘제조물에 대하여만 발생한 재산상 손해’에는 제조물 자체에 발생한 재산상 손해뿐만 아니라 제조물의 결함 때문에 발생한 영업 손실로 인한 손해도 포함되므로 그로 인한 손해는 제조물 책임법의 적용 대상이 아니다.
'권리 및 생활보상 관련(이주대책) > 영업보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기업청 - 사회적협동조합이 중소기업의 범위에 포함되는지(「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제1항 등 관련) (0) | 2015.10.25 |
---|---|
휴업보상 사업자등록 과세사업자단위, 휴업 폐업여부 확인방법 (0) | 2015.10.20 |
한약종사(現 한약업사)에 대한 영업보상이 휴업보상인지 폐업보상인지 (사견) (0) | 2015.10.20 |
영업손실 보상의 기준이 되는 “사업인정고시일등”의 의미(「토지보상법 시행규칙」 제45조) (0) | 2014.12.02 |
2014. 6. 26. 선고 2013두13457 판결 〔수용보상금증액〕 (영업폐지시 재고자산 매각손실액의 의미) (0) | 2014.08.22 |